본문 바로가기

고양이 질환/고양이 전염성 질환

톡소포자충, 도대체 언제까지 고양이를 괴롭힐 것인가.

톡소포자충, 도대체 언제까지 고양이를 괴롭힐 것인가

 

 

 

'고양이 동거녀 자살 위험 1.5배 높다' - 국민일보

 

'고양이 키우는 女, 자살 확률 높아 '충격'' - 한국경제 TV

 

'임신중 고양이 가까이 두면 향후 '자해,자살' 위험 높아 - 메디칼 투데이

 

'고양이 키우는 여성, 자살율 높다' - 노컷 뉴스

 

 

 

  오늘 위와 같은 제목의 기사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고양이를 키우는 여성이 톡소포자충에 감염되면 자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제목 일색인데요. 저로서는 처음 듣는 말이라 위 기사들이 인용한 해외 원문기사를 찾아 보았습니다. 출처는 바로 해외 신경과학뉴스(http://www.neurosciencenews.com)에서 나온 2012년 07월 03일판 기사더군요. 원문을 읽어본 저는 실소, 황당함, 분노 등을 감출 수 없었습니다. 원문은 훌륭한 의학전문기사인데 비해 이를 인용한 국내 기사들은 너무나 형편없었기 때문이지요. 톡소포자충이 전세계에 만연한 기생충임을 감안했을 때, 이 기생충과 다른 질환과의 연관성을 추적함은 과학자로써 당연한 의무라 생각되었으며, 이를 자살과 연결지어 연구한 것 또한 어느정도 이해가 되었습니다. 해외 원문기사는 그 객관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오해나 공포가 형성되지 않도록 신중하게 이 과학 연구에 대해 풀어나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 원문기사가 톡소포자충과 자살시도 사이의 관계에만 초점을 두고 (고양이가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밝히고 있지만, 그보다 감염의 더 큰 비중하는 경로는 덜 익힌 고기나 날고기임을 명확히 명시하는 등 톡소포자충의 본질에 대해 상세히 다룸으로써 불필요한 오해와 공포조장을 피했지요.) 있는데 비해 국내 인용기사는 난데없이 '고양이'를 제목에 등장시킬 뿐 아니라 그 내용 또한 고양이를 피해야만 하는 대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해외 원문기사에서는 임산부의 경우 고양이 화장실 청소를 피하길 권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실제 감염 경로를 자세히 살펴 고양이를 향한 대중의 맹목적 공격을 초래함을 피하고 있지요.)

 

  과학, 특히 불확실성을 가득찬 의학에 대한 기사는 항상 그 객관성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조금이라도 그 틀에서 벗어난다면 기사는 해당 연구의 맥락을 자의적으로 곡해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해외 의학전문기사들을 보며 항상 부러움을 느낍니다. 밑에는 해당 해외 원문기사에서 국내 인용기사에서 잘못 착안한 부분을 문단별로 적어 보았습니다. 문제점을 지적하는데 큰 의미가 없는 부분은 다루지 않고 그냥 넘어갔습니다.  '너 고양이 키우면 자살한다!?' 하는 분이 있으면 차근차근 그 오해를 풀어주세요!

 

 

Women Infected with Toxoplasma Gondii Parasite Have Increased Risk of Attempting Suicide

Senior author from University of Maryland School of Medicine urges further study of possible link between common parasite and suicidal behavior.

Women infected with the Toxoplasma gondii (T. gondii) parasite, which is spread through contact with cat feces or eating undercooked meat or unwashed vegetables, are at increased risk of attempting suicide, according to a new study of more than 45,000 women in Denmark. A University of Maryland School of Medicine psychiatrist with expertise in suicide neuroimmunology is the senior author of the study, which is being published online today in th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번역 - 45,000명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덴마크의 연구에 따르면 고양이 분변과의 접촉이나 덜익힌 고기, 덜씻긴 채소를 먹어 전파되는 톡소포자충에 감염된 여성은 자살을 시도할 위험성이 큰 것으로 높다고 한다.  

 

“We can’t say with certainty that T. gondii caused the women to try to kill themselves, but we did find a predictive association between the infection and suicide attempts later in life that warrants additional studies. We plan to continue our research into this possible connection,” says Teodor T. Postolache, M.D., the senior author and an associate professor of psychiatry and director of the Mood and Anxiety Program at the University of Maryland School of Medicine. He also serves as research faculty at the University of Maryland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Innovations Center and is a senior consultant on suicide prevention for the Baltimore VA Medical Center.

 

  아직 톡소포자충이 자살을 유도한다는 그 명확한 연관성은 입증하지 못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연구진의 인터뷰입니다.

 

  번역 - "우리는 톡소포자충이 여성이 자살을 하게끔 만든다고 확실히 말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톡소포자충 감염과 자살시도 사이에 어떤 일치되는 경향 (여기서 Predictive association은 아래 나오는 연구 결과의 통계적 수치 경향의 일치를 의미할 뿐 입니다.) 을 발견했으며, 이는 추가적인 연구를 요구합니다. 우리는 이 경향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서 진행하려 합니다.'

 

About one-third of the world’s population is infected with the parasite, which hides in cells in the brain and muscles, often without producing symptoms. The infection, which is called toxoplasmosis, has been linked to mental illness, such as schizophrenia, and changes in behavior.

 

  연구에 대한 전체적 개관을 한 후, 불필요한 오해를 없애기 위해 톡소포자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이어집니다.

 

  번역 - 전세계 인구의 약 1/3이 이 기생충에 감염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뇌나 근육세포에 잠복하며, 때로는 아무런 증상을 보이지 않기도 합니다. 톡소플라즈모시스(톡소포자충증)이라 불리는 이 감염은 정신분열증과 같은 정신질환이나 행동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왔습니다.

T. gondii are shown. Caption describes well.
Women infected with the Toxoplasma gondii (T. gondii) parasite, which is spread through contact with cat feces or eating undercooked meat or unwashed vegetables, are at increased risk of attempting suicide, according to a new study of more than 45,000 women in Denmark. Shown here are images of T. gondii constructing daughter scaffolds within the mother cell. Cyan: YFP-α-Tubulin; yellow: mRFP-TgMORN1. Image adapted from Wikimedia Commons image provided by Ke Hu and John Murray. More info is provided in Notes below.

E. Albert Reece, M.D., Ph.D., M.B.A., vice president of medical affairs at the University of Maryland and John Z. and Akiko K. Bowers Distinguished Professor and dean of the University of Maryland School of Medicine, says, “T. gondii infection is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around the world, and many people don’t realize they’re infected. Dr. Postolache is a leading expert on suicide neuroimmunology. Suicide is a critically important mental health issue. About 1 million people commit suicide and another 10 million attempt suicide worldwide each year. We hope that this type of research will one day help us find ways to save many lives that now end prematurely in suicide.”

 

  이번 연구가 시작된 취지에 대한 인터뷰입니다. 사실 톡소포자충이 전세계적으로 만연한 질환인 만큼 자살과 톡소포자충의 연관관계를 규명해 보려는 연구는 큰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이 기사는 이를 독자에게 인지시키며 차근차근 진행됩니다.

 

  번역 - "톡소포자충 감염은 전세계에 걸쳐 중요한 공중보건상의 문제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감염되어 있다는 걸 모르지요. Dr. Postolache는 자살과 관련된 신경면역학의 선구적인 전문가입니다. 자살은 정신건강에서 매우 중요한 화두입니다. 전세계적으로 매년 약 백만 명의 사람들이 자살로 목숨을 잃고 있으며, 약 천만 명의 사람들이 자살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런 종류의 연구가 훗날 자살로 끝나고 마는 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구하길 바랍니다."

 

The research is the result of Dr. Postolache’s ongoing collaboration with Preben Mortensen, Dr.Med.Sc., professor and head of the National Centre for Register-based Research at the University of Aarhus in Denmark. Marianne Giortz Pedersen, M.Sc., of the National Centre for Register-based Research, is the study’s lead author. It is the largest study of T. gondii and attempted suicide and the first prospective study to document suicide attempts that occurred after the infection was discovered. Dr. Postolache’s research team at the University of Maryland was the first to report a connection between T. gondii and suicidal behavior in 2009. He is collaborating with researchers in Denmark, Germany and Sweden to confirm and investigate the mechanism leading to this association.

 

The T. gondii parasite thrives in the intestines of cats, and it is spread through oocysts passed in their feces. All warm-blooded animals can become infected through ingestion of these oocysts. The organism spreads to their brain and muscles, hiding from the immune system within “cysts” inside cells. Humans can become infected by changing their infected cats’ litter boxes, eating unwashed vegetables, drinking water from a contaminated source, or more commonly, by eating undercooked or raw meat that is infested with cysts. Not washing kitchen knives after preparing raw meat before handling another food item also can lead to infection. Pregnant women can pass the parasite directly to their fetuses and are therefore advised not to change cat litter boxes to avoid possible infection.

 

  위 부분은 정말 놀랍지 않을 수 없습니다. 톡소포자충의 감염경로에 대해 상세하게 하나하나 설명하는데, 고양이에 대한 언급이 분명이 있지만 그 객관성을 철저하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주된 원인이 "덜 익힌 고기 또는 날고기" 임을 명확히 밝히고 있으며, 임신 여성에서의 위험성을 지적하고 있지만 이를 고양이에게만 그 원인을 돌리지 않고  "임신여성에게는 고양이 화장실 청소를 피하길 권장"하고 있다면서 감염과 예방 사이에 정말 중요한게 뭔지 알려줍니다.

 

  번역 : 톡소포자충은 고양이 소화기계에서 생식하며, 이로 인한 충란이 분변을 통해 배출됩니다. 모든 온혈동물은 이 충란을 섭취함으로써 이뤄집니다. 톡소포자충은 뇌와 근육으로 퍼지고, 세포 안에서 "Cyst"를 형성해 면역계로부터 피합니다. 사람은 감염된 고양이 화장실을 헝소하거나, 덜 씻은 채소를 섭취하거나, 오염된 곳으로부터의 물을 섭취하거나, 아니면 더 흔하게, 톡소포자충에 감염된 덜 익힌 고기나 날고기를 섭취함으로써 감염됩니다. 날고기에 사용한 식도를 씻지 않고 다른 음식을 준비하는데 사용할 경우 또한 감염의 경로가 될 수 있습니다. 임신 여성에서 톡소포자충은 태아에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감염을 피하기 위해 고양이 화장실을 청소하는 것이 권장되지 않습니다.  

 

In this study, researchers analyzed data from 45,788 women in Denmark, who gave birth between May 15, 1992 and Jan. 15, 1995 and whose babies were screened for T. gondii immunoglobulin G (IgG) antibodies. Babies don’t produce antibodies to T. gondii for three months after they are born, so the antibodies present in their blood represented infection in the mothers. The scientists scoured Danish health registries to determine if any of these women later attempted suicide, including cases of violent suicide attempts which may have involved guns, sharp instruments and jumping from high places. The researchers also cross-checked records in the Danish Psychiatric Central Register to determine if the women had been diagnosed previously with mental illness.

 

  위 내용은 연구과정에 대한 설명입니다. 한번 살펴보시지요. 이번 연구에서 연구진들은 1992년 5월 15일부터 1995년 1월 15일 사이에 출산을 한 45,788명의 덴마크 여성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습니다. 이들 여성의 아이들은 톡소포자충에 대한 면역항체(Ig G) 검사를 받았지요. 정상 아이들은 출산 후 3개월까지 톡소포자충에 대한 항체를 보유하지 않기 때문에, 조사 대상의 아가들 중 항체가 발견된다면 이는 그 어머니가 톡소포자충에 감염되었음을 의미하지요. 연구진은 이 후 이 여성들을 추적하여 (Danish health registries, 아마도 덴마크 건강보험 등을 통해 기록된 자료를 추적한게 아닐까 합니다.) 이들 여성들의 자살 시도여부를 조사했습니다. 연구진들은 또한 이 여성들이 이전에 정신질환으로 진단받았는지 여부도 조사하였습니다.(Danish Psychiatric Central Resgister)

 

The study found that women infected with T. gondii were one and a half times more likely to attempt suicide compared to those who were not infected, and the risk seemed to rise with increasing levels of the T. gondii antibodies. Previous mental illness did not appear to significantly alter these findings. The relative risk was even higher for violent suicide attempts. In contrast to the number of women who attempted suicide using any method (517) or violent methods (78), the number of fatalities through suicides in the cohort (18, with eight in Toxoplasma-positive mothers) was still too small to be conclusively analyzed statistically.

 

  CBS기사에서는 제목을 "자살율"이라 표현했는데, 연구에서의 초점은 "자살 시도율"입니다. 연구를 있는 그대로 전달하지 못해 불필요한 오해와 공포를 조장하기 쉽다고 생각되네요. 총 45,788명의 여성 중 자살시도를 보인 여성은 517명이 불과합니다. 그 중 극단적인 방법으로 자살을 시도한 여성은 78명에 불과하지요. 이 517명의 여성 중 톡소포자충 감염 여성과 비감염 여성을 구분하여 1.5배의 통계가 나온 것이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이 연구 자체만으로는 톡소포자충이 자살을 유도하는 그 기전은 커녕 상관관계도 명확히 알 수 없습니다. 이는 뒤에 이어지는 연구진의 인터뷰에서도 인정하는 바입니다. 특히 45,788명의 여성 중 실제 18명이 자살을 하였는데, 이 중 톡소포자충 감염 여성은 8명이었습니다. '자살율'만 따지고 본다면 실제 연구결과, 톡소포자충 비감염 여성이 감염 여성보다 자살율이 낮음을 볼 수 있습니다. 결국 CBS기사는 신중하지 못한 번역으로 인해 연구결과까지 곡해하고 있습니다.

 

Dr. Postolache stresses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learn more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T.gondii and suicide. Although studies looking at aggregate data by countries have suggested a link, “there are no studies on individuals confirming the association of T. gondii with suicide fatalities,” he says. “Because suicides and attempts differ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 and demographics – for example, women attempt suicide more frequently and men have a higher incidence of suicide – the next step is to repeat this study with a sufficient sample aimed at analyzing suicide mortality, the most important target variable in suicide prevention.”

 

  Dr.Postolache는 톡소포자충과 자살 사이의 관계를 더 배우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역설하며, 자살에 미치는 개인의 경험과, 인구 등의 요인 때문에 더 큰 규모를 대상으로 한 다음단계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He notes that one of the strengths of this study was that researchers were able to adjust for various factors, such as prior history of mental illness (e.g. mood disorders, schizophrenia,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s) not only in the subjects, but also in their parents. They also had access to a tremendous amount of information as a result of Denmark’s multiple registries and health care system, which provides free medical care for residents. “We had a unique population-based cohort with almost complete follow-up data for up to 14 years. Women were included in the study irrespective of socioeconomic status, and information about T. gondii antibodies was collected prospectively and independently of this study,” Dr. Postolache says.

 

But, he also notes limitations to the study, such as the inability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suicidal behavior. “T. gondii infection is likely not a random event and it is conceivable that the results could be alternatively explained by people with psychiatric disturbances having a higher risk of becoming T. gondii-infected prior to contact with the health system,” Dr. Postolache says.

 

The study also did not include men and women who didn’t have children, and did also not capture many episodes of attempted suicide, especially those that were interrupted or aborted and therefore may not have been recorded. It was also not always possible to determine if a self-inflicted injury was an intended suicide, Dr. Postolache says.

 

“Is the suicide attempt a direct effect of the parasite on the function of the brain or an exaggerated immune response induced by the parasite affecting the brain? We do not know. In fact, we have not excluded reverse causality as there might be risk factors for suicidal behavior that also make people more susceptible to infection with T. gondii,” Dr. Postolache says. “If we can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we may be able to predict those at increased risk for attempting suicide and find ways to intervene and offer treatment.” He proposes future research focusing on molecular and behavioral intermediate mechanisms potentia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 gondii, suicide risk factors and suicidal behavior.

 

  번역 - "자살시도가 뇌 기능에 대한 톡소포자충의 직접적인 영향인지, 혹은 톡소포자충에 의한 강화된 면역반응이 뇌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나타나냐고요? 우리는 모릅니다. 사실 우리는 자살시도의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톡소포자충의 감염에 더 노출되어 있지 않을까 하는 정반대의 상황도 배제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연구를 주도한 Dr.Postolache 스스로도 아직 톡소포자충이 여성의 자살을 유도한다는 결론을 내리지 못하였습니다. 또한 반대로 그는 자살을 시도하는 집단이 톡소포자충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 나타난 결과일 수도 있다는 점을 배제하지 않았지요. 결국 이 연구와 본 기사는 전세계에 만연한 기생충인 톡소포자충과 자살과의 연구의 흐름을 다뤘을 뿐 어떠한 결론도 내리지 않았습니다.

 

J. John Mann, M.D., of Columbia University, an international expert on suicide, says that evidence is accumulating on immune factors being associated with suicidal behavior. “Identifying neurotropic latent infections potentially triggering or perpetuating a heightened immune response in patients at risk could lead to new ways of thinking of risk, prevention and risk reduction for suicide, one of the major contributors to premature death worldwide,” he says.